본문 바로가기

내 직업은 주부

2021년 연납 자동차세 신용카드 포인트로 납부하기/현대카드 M포인트/자동차세 연납

728x90

2021년의 시작이 엊그제 같았는데, 벌써 한 달의 반이 지났어요.
해가 바뀌었다는건 슬슬 1년 치의 세금에 대한 고민이 시작되었다는 거죠.

2020년 연말정산을 위한 준비도 해야 하고요, 연납으로 신청되어 있는 지방세 중 자동차세도 납부해야 하고요, 자동차 보험도 다시 가입해야 하고 등등... 아시겠지만, 주부들은 이렇게 한꺼번에 나가야 하는 don에 민감하잖아요.

1년 살림살이의 예산 중 상당 부분이 나가는 달입니다.

 

자동차세는 지방세로 본인의 자동차가 등록되어 있는 지역에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자동차세는 매년 6월과 12월에 부과하는 세금입니다.

하지만, 자동차세의 1년분을 선납하면 최대 세액의 10%를 할인받는 자동차세 연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자동차를 보유하고 있다면 누구나 내야 하는 자동차세를 조금이라도 할인받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입니다.

 

자동차세 연납이란???

1월 중에 2021년도 자동차세 연세액을 한꺼번에 납부하는 경우 세액 공제를 제공받을 수 있는 제도로, 연납 신청 시 최대 10%의 범위에서 공제한 세액으로 납부할 수 있습니다.

자동차세 연납신청은 1월, 3월, 6월, 9월에 가능합니다.

할인율은 1월(10%), 3월(7.5%), 6월(5%), 9월(2.5%)입니다.

 

저의 가정도 연납 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할인을 위해 시작되었지만, 솔직히 목돈이 나가다 보니 조금 힘든 경우도 있어요.

이런 저의 마음을 읽으셨는지, 신용카드 포인트로도 납부할 수 있다는 소식을 들었어요.

벌써 이 방법을 많이 이용하고 계신 분들이 있지만, 저는 올해 처음 사용해 봅니다.

 

그럼 자동차 세금 납부하러 가실까요.

 

1. 전국 지방세 납부에 필요한 위텍스 어플을 다운로드하여 회원가입했습니다.

 

2. 지방세 조회 납부를 선택합니다.

   (저의 가정은 차량 2대를 사용하고 있어요.)

 

 

3. 납부를 선택해 인터넷 지로에 들어가 약관에 동의해야 합니다.(저는 이런 약관 동의가 너무 싫더라고요.)

 

 

4 인터넷 지로에 들어가 납부 방법을 선택합니다.

  신용카드 납부를 눌러 포인트 사용을 선택 후 포인트 조회를 하면 됩니다.

저의 신용카드는 현대카드인데 현대카드 1포인트=2/3원(예, 30,000포인트=20,000원)입니다.

온전히 포인트 전체를 현금화한다는 건 아니 되네요.

 

5. 현대카드 M포인트로 자동차세 납부했습니다. (아쉽게도 포인트가 부족해 나머지는 카드대금으로 납부가 됩니다.)

6. 이제 자동차세 연납을 완료했습니다.

  처음에 조금 무리가 따르지만, 1년을 마음 편하게 지낼 수 있어요.

 

자동차세 연납으로 할인받고, 신용카드 포인트로 납부해 보는 건 어떨까요!!!!!

 

유독 추운 겨울을 지내고 있는 지금, 조금이라도 가계에 보탬이 되는 소식이길 바랍니다.